발달 이론 (프로이트, 에릭슨, 피아제, 콜버그, 길리건)
앜 이론이 너무 많다. 공부가 쉽지 않다.
기본서 없이 기출문제 중심으로 정리하다보니 맥락잡기가 쉽지 않다.
일단 내가 외우기 쉽게 정리한다. (문제 중심으로 필기 요약하고 아래에 정리한 내용이다)
내용은 기출문제를 풀때마다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.
꼭 올해 필기 실기 한번에 합격하자.
전체 그림
프로이트 - 심리 성적 발달이론 (5단계, 구강기-항문기-남근기-잠복기-생식기)
에릭슨 - 심리 사회 발달 이론 (8단계)
피아제 - 인지 발달 이론 (4단계, 감각운동-전조작-구체적조작-형식적조작)
콜버그 - 도덕성 발달 이론 (3수준 6단계, 전인습-인습-후인습)
길리건 - 도덕 발달 이론 (여성, 타인에대한 돌봄과 책임 획득)
프로이트의 심리성적발달이론
* 성격의 3요소 원초아(ID), 자아(EGO), 초자아(SUPER EGO)
- 원초아 : 쾌락의 원리 - 성격의 기초 / 행동에 힘을 부여하는 생물학적 충동을 저장 (리비도)
- 자 아 : 현실의 원리 - 성격의 집행자 / 현실과 원초아를 중재, 현실을 고려하여 행동을 결정
- 초자아 : 도덕의 원리 -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통합하는 성격의 요소이다.
* 자아는 현실을 고려하는데 비해, 초자아는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통합하는 성격의 요소이다.
* 초자아는 거세불안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본다. (남근기)
* 리비도는 성충동에너지로 발달단계 구분하는 기준
* 모르티도는 공격충동에너지로 죽음의 본능으로서의 에너지
구강기
항문기
남근기
잠복기
생식기
에릭슨 심리사회 발달이론
* 전 생애에 걸친 발달과 변화를 강조
* 인간의 행동은 자아에 의해 동기화 된다고 봄
* 자아
* 자아정체감
* 점성원리
* 위기
피아제 인지발달이론
* 인간은 변화하고 성장하는 존재로 인지발달과정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이다.
* 인간은 주관적인 존재로 나름대로 의미 부여하는 주관적 현실만이 존재한다.
* 적응의 과정은 동화, 조절, 평형상태
감각운동기
- 대상영속성 획득 (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져도 그 물체가 계속해서 존재한다는 사실)
- 전조작기로 이행하는 필수 능력으로 머릿속에 대상에 대한 표상, 심상을 그릴 수 있다.
전조작기
-
구체적조작기
- 보존개념 획득 (물체의 모양이 바뀌더라도 물리적 특성은 동일하다는 사실)
- 가역성 개념 획득
- 탈중심화
- 분류조작, 서열조작, 공간적추론이 가능해져 논리적 사고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됨
형식적조작기
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 (3수준 6단계)
* 인간의 도덕성 추론 능력의 발달과 인지적 발달이 연관되어 있다.
* 발달 순서는 모든 문화와 사람에서 동일하다고 보았다.
* 아동의 도덕판단이 일정한 단계를 거친다고 보았다.
* 아동에게 도덕적 갈등 상황을 겪는 가상의 이야기를 제시하고, 그 판단에 따라 도덕성 발달 수준을 분류함.
전인습적 : 자기중심적 도덕적 판단, 사회적 기대와 규범을 이해하지 못함
- 처벌, 복종
- 도구적 상대주의
인습적 : 규범과 관습에 순응하는 경향을 보이고, 타인의 입장과 견해를 이해할 수 있음
- 상호조화 관계 지향
- 사회체계 (법과 질서)지향
후인습 : 법과 관습보다 자신의 가치기준과 자신이 인정하는 도덕원리에 근거해 판단함
- 사회계약 지향
- 보편적 윤리원리 지향
길리건 도덕 발달 이론
* 길리건은 콜버그의 이론은 정의를 강조하는 남성에게 적합하지만 타인을 돌보는 것에 관심을 두는 여성에게는 부적합하다고 주장.
* 길리건은 타인에 대한 돌봄과 책임을 획득하는 것을 중점으로 발달단계를 제안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