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필기 시험/제1과목 : 심리학개론 24

기억 - 정보 인출 (부호화 특수성원리, 명시적/암묵적인출)

* 부호화 특수성의 원리 =부호화 명세성의 원리 = 부호화 특정원리 정보인출 시, 부호화했던 맥락과 일치할 때 인출이 잘된다는 의미 예) 공부한 곳에서 시험본다. 부호화하는 맥락과 인출되는 맥락이 일치할때 인출이 가장 잘된다는 의미 부호화할 당시의 단서는 가장 좋은 인출 단서가 된다. * 명시적/암묵적 인출 ⑴ 명시적 인출 : 재인, 회상 ⑵ 암묵적 인출 : 절차적 기억, 점화기억

애착 (Ainsworth 낯선상황 실험)

낯선상황실험 안정애착 : 엄마와 분리되었다 재결합 시 엄마를 반갑게 맞이하고 편안해진다. 불안정 회피 애착 : 낯선장소에서 엄마가 사라졌을 때 걱정하다가, 돌아왔을 때 엄마를 피함 불안정 혼란 애착 :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이 결합된 형태, 가장 심각한 불안정애착 (엄마와 재결한뒤에도 다른곳을 쳐다봄) 불안정 양가 애착 : 분리하기 전부터 불안해하고, 분리되고는 심한 불안을 보이지만, 재결합 시에도 안정감을 느끼지못하고 분노하여 엄마를 밀어내는 양가적 반응을 보임

뉴런 (안정전위, 활동전위)

안정전위 (뉴런의 휴식기 상태) - 뉴런은 축색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합차이를 가지는데, 이러한 전위차를 안정전위(안정막전위)라고 한다. - 안정전위는 아무 자극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축색 내부와 외부간에 존재하는 전위차를 말한다. - 뉴런 안쪽 (내부) : 음성(-), 칼륨이온 - 뉴런 바깥쪽 (외부) : 양성(+), 나트륨이온 활동 전위 - 축색의 세포막 채널에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한다 - 전치 쇼크가 일정 수준, 역치에 도달할 때에만 발생한다.

강화

강화 - 일차강화물 : 생리적 요구를 충족하는 자극 (물, 음식, 성행위) - 이차강화물 : 학습하고 가치를 가져야하는 것 (점수, 칭찬, 토큰) - 강화가 지연되면 효과가 감소한다. - 계속적 강화보다는 부분강화가 소거를 더욱 지연시킨다. - 고정비율 계획보다는 변화비율 계획이 소거를 더욱 지연시킨다. - 일반적 강화인 : 하나 이상의 보상과 연합되어 중립자극 자체가 강화적 속성을 띠게 되는 현상 고전적 조건형성이 된 후 중립자극도 조건자극이 되어 강화인이 된다. * 강화 계획 고정비율 강화계획 : 특정한 수의 반응을 받으면, (고정적인) 보상이 제공 변동비율 강화계획 : 특정한 수의 반응을 받지만, 변동적인 보상이 제공 (슬롯머신) 고정간격 강화계획 : 강화의 시행 간격이 일정함 (= 보상의 제공시기..

성격의 5요인 모델 (개방성, 성실성, 외향성, 친화성, 신경성)

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개인의 심리 및 경험의 다양성 (지능, 상상력, 호기심, 모험심, 예술감각 등) 성실성 Conscientiousness - 목표 성취를 위해 성실하게 노력하는 성향 - 행동을 계획하고 통제하는 전두엽 면적이 크다. 외향성 Extraversion : 다른 사람과의 사교, 자극과 활력을 추구하는 성향 친화성 Agreeableness : 타인에게 반항적이지 않은 협조적인 태도 (이타심, 애정, 신뢰, 배려, 겸손 등) 신경성 Neuroticism = 정서적 불안정성 - 분노, 우울함, 불안감같은 불쾌한 정서를 쉽게 느끼는 성향 - 유전적 기질로 일관되게 나타남 * 함께 암기 하기 - 성격의 공통적 특성 3가지 : 독특성, 안정성, 일관성 * 비교 암기 하기 - ..

Kblur-Ross 죽음의 5단계 (부정-분노-타협-우울-수용)

1단계 부정 : 죽음을 믿지 못함 2단계 분노 : 왜 하필 나야? 신이나 의사에게 분노함 3단계 타협 : 신이나 의사와 타협, 신에게 기부할테니 낫게해달라거나, 의사에게 돈을 줄테니 치료해달라고 하기도 함 4단계 우울 : 희망이 사라지고 우울감, 무력감에 빠진다. 5단계 수용 : 죽음을 받아들이는 단계, 주변사람에게 잘못한일을 사과하거나 마무리를 기다린다.

망각 (간섭이론, 소멸이론, 비효율적 부호화 이론)

망각 - 장기기억, 단기기억에서 일어남 - 망각은 인출단서가 없거나 유사한 기억이 내용을 간섭하면서 발생한다. - 단기기억 망각 : 대치, 쇠퇴 (시간경과에 따라 이전 기억을 더 많이 잃어버리는 현상) - 장기기억 망각 : 간섭이론 * 역행간섭 : 최근정보가 이전 정보를 간섭하는 것 * 순행간섭 : 과거정보가 최근 정보를 간섭하는 것 소멸이론 기억은 비영구적이므로,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망각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. 비효율적 부호화이론 읽었던 정보를 기억할 수 없는 원인 음운적 부호화는 의미적 부호화보다 저장하기 어렵다.

728x90